AI가 HR을 DX하는 방법!
✍️ 작가의 한마디
바야흐로 AI 시대. 산업 환경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이에 맞춰 업무 환경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HR테크 시리즈에서는 'AI와 디지털 도구를 통해 겪게 될, 일 하는 방식의 변화'(AX와DX)를 주제로, HR 담당자가 공감할 만한 구체적인 사례 중심으로 풀어나갈 예정입니다.
AI와 HR의 만남: 디지털 전환(DX)의 시작
시나브로 DX는(Digital Transformation)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디지털 전환의 시대를 준비하고 적응하자는 구호를 외치며 기업문화의 변화를 꾀하고자 노력한지 몇 년 되지 않은 것 같은데, 2023년 봄부터 경제 지면을 장식하기 시작한 ChatGPT로 인해 산업체는 물론, 개인의 삶에 이르기까지 유례없는 수준으로 각광받기 시작한 AI 기술은 분명 HR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처럼 AI는 단순한 도구를 넘어 HR 프로세스를 근본적으로 재편성하며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일터 환경뿐 아니라 비즈니스 생태계 전반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우리는 AI가 초래할 영향에 대해 얼마나 파악하고 있고,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있을까요?
이번 1편에서는 채용, 인재관리, 성과 평가 등 HR 분야에서 AI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이며,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효과는 어떤 것이 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HR분야의 AI활용
AI는 몇 년 전부터 지원자의 이력서 스크리닝, 인터뷰 일정 조율, 성과 평가 등 HR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어 오고 있습니다. 서비스의 강점이나 업데이트의 주기에 따라 다소 다르게 적용될 수 있지만, HR 분야에서의 AI는 전반적으로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식에 중점을 두고 다각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AI는 반복적이고 소모적인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HR이 기존보다 전략적이고 기획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셈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채용과 인재관리, 평가 등 HR 영역별로 AI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채용 프로세스 혁신
AI를 활용한 채용 프로세스는 이력서 스크리닝과 인터뷰 일정을 자동으로 조율하여 채용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가령, "이력서를 분석하고, 후보자 추천을 자동화하여 서류 검토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었다"라는 피드백이 채용 효율성 향상의 대표적인 케이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채용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효율화하는 소프트웨어 중 한 가지인 지원자 추적 시스템(ATS, Applicant Tracking System)은 이력서 분석 및 필터링을 통해 스크리닝을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하고, 지원자 DB를 관리하여 채용 프로세스를 자동화함으로써, 채용담당자의 시간을 크게 절약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결국 이를 통해 AI는 채용담당자가 채용 프로세스를 고도화하며, 선발의 정확성을 높이는 등 보다 전문적인 영역에 집중하도록 돕고 있습니다.
일례로, 유수의 국내 기업 중 S사나 L사, P사 같은 제조업은 물론, K은행 등 금융권 굴지의 기업에서도 지난 3-5년 내에 AI 기반의 채용 소프트웨어를 도입하거나, 자체 개발하여 채용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향상시켰다는 조사 결과나 반응들이 있있습니다.
(유수의 대기업에서 채용 절차에 ATS는 물론, AI를 활용한 전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위:LG전자, 아래:포스코)
🧑💼인재 관리(Talent Management) 시스템 혁신
AI는 성과 분석 및 예측을 통해 조직 내 인재관리의 질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조직에서 수립한 KPI, KR 분석과 성과 예측을 통해 인재 유지와 개발에 기여하며, 인재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글로벌 경영 컨설팅 그룹인 BCG의 보고서에 따르면, AI는 HR이 전략적 리더십을 강화하고, 생산성을 높이며, 개인화된 직원 경험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BCG는 AI로 인해 HR은 "비즈니스 파트너로서의 전략적인 역할이 확대될 것"이라 분석했습니다, 출처: BCG)
또한, 유튜브 채널 AIHR의 「The 6 Stages of Successful Digital HR Transformation」 영상에서는 AI의 도입이 HR의 전략적 역할을 강화하며, 직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니 참고해 보셔도 좋겠습니다.
(The 6 Stages of Successful Digital HR Transformation | AIHR Learning Bite)
📊공정하고 객관적인 성과 평가
조직력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도구 중 하나인 공정하고 투명한 성과관리와 평가 시스템 구축은 조직문화를 관리하는 것 못지않게 지속 가능한 경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AI를 활용한 성과평가 시스템은 데이터 기반의 평가를 통해 평가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사람의 판단을 거치기 전 단계에서 데이터 기반의 인사이트를 제공함으로써 편견을 최소화하고, 보다 공정한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
AI 도입 시 고려사항과 후속 과제
-
바야흐로 새로운 시대를 일컫는 이름이 6개월에 한 번씩, 아니 3개월에 한 번씩은 나올 만큼 기술 개발의 속도가 빨라졌고, *VUCA시대에 개인과 조직은 새로움을 반기면서도 오히려 저항하는 양가적인 심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AI 도입 초기에는 직원들의 저항감이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AI 도입이 가져오는 효율성 증대와 생산성 향상은 결국 조직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입니다.
*VUCA: 변동성(Volatile), 불확실성(Uncertainty), 복잡성(Complexity), 모호성(Ambiguity)을 조합한 단어로, 미래를 예측하기 힘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징을 의미. DBR 기사 보기↗
다만,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양날의 검이 있고,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넌다는 속담이 있으니 기술 도입에 대해 검토하기 전에, 혹은 이미 검토를 마쳤더라도 앞서 언급한 영상과 아티클 등을 찾아봄으로써 AI 도입이 미칠 영향에 대해 각자의 기업 환경에 맞는 인사이트를 도출한다면 좋겠습니다.
또한, 향후 AI 기술을 도입할 때는 조직문화의 변화 관리(Change Management)와 데이터 보안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될 것이니, 이를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하며, 어떤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정보보호 부서에서는 물론, 인사팀과 경영지원팀이 함께 해 나갈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생성형 AI, 자동화 AI 기술을 활용한 HR 소프트웨어가 우리의 일터에 이미 도입되었고, 앞으로 더욱 고도화된 버전의 소프트웨어가 출현할 것입니다. 이에 따라 구성원들이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고, 변화된 업무 방식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지원이 필수 불가결하며,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윤리적 AI 사용에 대한 고려도 필수적이라는 것을 엿볼 수 있습니다.
우리 조직에서는 어떤 데이터 유출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는지, 또는 윤리적 관점에서 취약점이 관찰되는 시스템, 플랫폼, 온·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체계와 콘텐츠는 무엇인지 분별하고 이를 통해 도출되는 과제를 수행해 나감으로써, 앞으로의 HR은 AI도입에 전략적으로 준비하고 대응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마치며
AI와 HR의 융합은 HR 업무는 물론 전반적인 기업 환경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이를 통해 기업은 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AI를 활용한 HR DX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AI 도입을 통해 미래 HR의 경쟁력은 물론, 더 나아가 조직의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다른 기업에는 없는 우리 기업만의 엣지를 확보해 나가시기 바랍니다.
[참고 문헌 및 자료]
- "AI와 HR의 혁신: 기업 사례 분석", DBR
- "데이터 드리븐 HR: 인사이트 도출과 활용 사례", DBR
- "AI in HR: A New Paradigm for Efficiency", HBR
- "Using AI to Predict Employee Turnover", HBR
- "AI in Talent Acquisition: Trends and Best Practices", LinkedIn
- "AI and Employee Experience: Personalization and Engagement", LinkedIn
- "AI in HR - What is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r AI on HR?", YouTube
- "How Generative AI Will Transform HR", BCG
- "HR & Digital Transformation: How to Drive HR Change", Whatf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