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의 변화
아티클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의 변화

2024.06.20

시대가 바뀌면 인재상도 변한다”

 

'인재상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변화를 거듭하며 완성되는 것'

 

인재상은 ‘변화하는 것’ - 대한상공회의소 5년에 한 번 100대 기업 인재상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주목해 볼 만한 것은 100대 기업의 인재상이 5년마다 변화해 왔다는 것입니다. 대기업 인재상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변화와 혁신(63.3%)’ ‘창의·창조’가 60%, ‘도전’과 ‘열정’이 각각 53.3%, ‘전문가/최고’가 50% 순을 차지했습니다.

 

리어테크 플랫폼 사람인이 최근 기업 538개사를 대상으로 '인재상 키워드 변화'에 대해 조사한 결과, 기업 5곳 중 2곳(42.9%)이 5년 전과 비교해 변화가 '있다'고 답했습니다. 과거에 비해 더 중요해진 인재상 키워드는 '책임감'(52.8%,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으며, 계속해서 소통 능력(32.9%), 성실성(32.9%), 팀워크(28.6%), 긍정적인 태도(25.1%), 전문성(16.5%), 열정(15.6%), 도전(15.2%), 배려(14.7%), 위기대응력(14.3%)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업들은 인재상이 변화한 이유로는 '새로운 세대 유입 등으로 인재의 특징이 변해서'(64.9%,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습니다. 과거 세대와 비교해 확연한 차이를 가진 세대가 신입사원의 주축이 되면서 이들에게 요구하는 인재상에 변화가 생긴 것입니다. 다음으로 급변하는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32.9%), 인재 채용 트렌드가 바뀌고 있어서(27.7%), 인재 운영 전략이 바껴서(13.9%), 신사업 등 경영 전략이 변화해서(11.3%) 등의 이유를 들었습니다.

 

(결국 기업이 원하는 인재는 이상향에 가까운, 책임감을 갖춘 변화와 혁신의 인재)

 

제너럴리스트 - 스페셜리스트 - 폴리스페셜리스트

 

- 스페셜리스트 인재= ‘한 우물을 파라’, 어느 특정 분야에 전문적인 기량을 발휘하는 인재

- 스페셜리스트 인재가 한 분야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면, 폴리스페셜리스트 인재는 전문성과 다양성의 조화, 즉 스페셜리스트이자 제너럴리스트인 인재이다.

- π자형 인재(폴리스페셜리스트) : 스페셜리스트 인재가 한 가지 분야에서 스페셜리스트 성향을 보인다면 π자형 인재는 두 가지 이상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을 발휘한다.


 

폴리스페셜리스트가 되려면?”

- 자신의 직무에 대한 Next step을 고민하고, 스스로 만들어야한다

- 자신의 직무에 필요한 지식, 기술을 추가적으로 학습해야한다.

- 다중 렌즈를 갖춰라. 직무 범위의 영역을 넓혀라

- 평생학습을 받아들이고, 변화에 적응해야한다

 

사실 전문성은 더욱 유동적인 특성을 띠고 있습니다. 지식이 축적되는 양도 엄청나지만 지식의 노후화와 갱신의 필요성에 대한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기 떄문입니다. 전문성을 갖추었다고 말하는 순간에도, 그 직무에 대해 전문가로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은 계속해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불행한 이야기지만, 전문가가 보유한 전문성을 그대로 두면 조만간 가치가 없는 것으로 전락할 수 있습니다.

 

다만 그 축적되어가는 전문성은 상대적 우위를 만들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그 동안에 전문성을 쌓은 상태에서 최신의 지식과 기술을 학습한 사람과, 최신의 지식과 기술만을 학습한 사람과는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성에 대한 요구는 변화하는 조직, 사업, 산업, 시대가 요구하는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항상 예민하게 반응하고 학습해야 합니다.

  • 자세히 보기
    트렌드

    인적자본 공시 의무화와 HR 표준 가이드라인(ISO 30414)

    HR 실무자를 위한 ISO 30414 기반 인적자본 공시 가이드입니다. 인적자본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공개하도록 돕는 국제 표준인 ISO 30414의 개념부터, ESG 전략을 강화하고 투자자 신뢰를 높이기 위한 핵심 지표, 실무 작성 팁, 그리고 국내외 사례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 자세히 보기
    트렌드

    주 4.5일제 도입 가이드: HR 필수 체크리스트 7가지

    주 4.5일제 도입을 고민하는 HR 담당자를 위한 실무 가이드. 주 4.5일제의 3가지 유형, 국내외 사례, 법적 고려사항, 7가지 체크리스트와 도입을 위한 단계별 로드맵으로 성공적인 도입을 준비하세요!

  • 자세히 보기
    트렌드

    생성형 AI로 쓴 자기소개서,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요?

    생성형 AI로 쓴 이력서와 자기소개서가 보편화된 시대, HR은 채용 평가 기준을 어떻게 재정립해야 할까요?

🥊스페셜리스트 VS 제너럴리스트🥊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요?

이렇게요!
일 잘하는
HR 담당자를 위한
압도적 솔루션,
에이치닷.
에이치닷 만나러 가기

이번 콘텐츠 어떠셨나요?
별점으로 알려주세요!

  • 빈 별점 별점
  • 빈 별점 별점
  • 빈 별점 별점
  • 빈 별점 별점
  • 빈 별점 별점
남기고 싶은 의견이 있으신가요?
닷찌 이미지
소중한 의견 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