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채용 플래너] 3. 지원서 설정
실제 지원자가 작성하게 될 지원서의 항목을 구성하는 메뉴입니다.
1. 지금은 어떤 단계인가요 ?

3단계, 지원서 설정 단계에요 !
2. 지원서 설정
1) 지원서 입력 값
각 항목은 선택 입력과 필수 입력으로 구분되며, 필수 입력 설정이 가능한 항목은 ⭐ 아이콘으로 표시됩니다. 해당 항목은 우선 '선택 입력'으로 적용한 후 클릭하여 필수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 선택 입력 : 입력하지 않아도 다음 페이지로 이동 가능한 항목
- 필수 입력 : 입력하지 않으면 다음 페이지로 이동이 불가한 항목, (*)로 표시됨


2) 탭 메뉴 편집
지원서 상단 탭 메뉴명은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으며, 한글, 영문, 숫자, '/' 만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설정하지 않은 탭이나 제목은 지원서에 노출되지 않으며, 탭 앞에 붙는 숫자는 자동으로 부여되어 함께 표시됩니다.
ℹ️ TIP
STEP2. 지원서 설정에서는 탭 메뉴명 변경만 가능하며,지원서 편집하기에서 제목명 및 항목명 변경이 가능합니다.
🔴 :탭 메뉴명 (띄어쓰기 포함 최대30자)
🔵 :제목명 (띄어쓰기 포함 최대50자)
🟡 :항목명 (띄어쓰기 포함 최대30자)
기본 탭 메뉴 수정
제목, 항목명 수정
ℹ️ TIP
지원서 제출 시, 마지막으로 확인하는 최종 제출 탭의 경우 별도 편집이 불가합니다.
3. 지원서 상세 설정

지원서 설정 기능 : 편집하기 , 불러오기 , 미리보기
❗️유의사항
채용절차법 제 4조의 3에 의거하여 지원자의 신체조건, 재산, 출신지역, 혼인여부, 직계가족의 정보 등을 요구할 시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1. 지원서 편집하기
상세 지원서 편집은 지원서 편집하기를 통해 편집할 수 있습니다.
[지원서 편집하기]나 공고에서 지원서를 편집하더라도 불러온 템플릿 내용은 변경되지 않습니다.
지원서 편집하기 화면

- 상단에서 기업 로고,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컬러 및 버튼 폰트 컬러 설정이 가능합니다.

- 각 항목별로 우측에서 상세 내용 수정이 가능합니다. 그룹 내에 항목 추가, 그룹 추가 등을 통해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합니다.
- 각 제목 내에서, 한 그룹 내에서는 항목 간 위치 이동이 가능합니다.
- 지원서 설정에서 각 기능별 상세한 설명을 확인해주세요.
2) 지원서 불러오기
지원서 템플릿 중 [대표 템플릿]에 설정된 정보를 불러옵니다.
'지원서 불러오기'를 클릭할 경우 이전에 설정해둔 조건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3) 지원서 미리보기
지원자의 입장에서 실제로 작성할 지원서 작성 페이지를 미리 볼 수 있습니다.

4. 지원서 간편 설정
각 항목을 클릭해 사용 및 필수값 여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상세 설정은 [지원서 편집하기] 혹은 각 항목별 **[항목 상세 편집]**을 통해 진행해주세요.
1) 코드 설정 필요 항목
면접가능지역과 지원경로의 경우 채용 코드 관리 메뉴에서 먼저 하위 항목에 대한 등록이 요구됩니다.
예시 - 채용코드관리 선등록 필요 항목
2) 항목 추가 시 질문 설정
항목 추가 시 질문 설정이 요구 됩니다. 질문 설정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텍스트 입력형 : 주관식의 짧은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숫자 입력형 : 주관식의 숫자 답변만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단일 선택형 : 객관식 여러 보기들 중 하나의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다중 선택형 : 객관식 여러 보기들 중 복수의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날짜 선택형 : 단일이나 기간 형식의 날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파일 첨부형 : 지원자가 직접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 서술형-단일 텍스트 : 주관식의 긴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서술형-멀티 텍스트 : 주관식의 긴 답변을 받으실 수 있으며, 하위 질문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ℹ️TIP
서술형 텍스트 입력 문항의 경우 글자수 미지정 시 최소 0자 ~ 최대 2,000자까지 입력 가능합니다._
일부 항목은 사용 설정 시 페이지 하단에 기준정보 설정 옵션이 함께 제공됩니다.
1. 학력사항 (선택사항)
고졸/대졸/대학원 졸업(예정) 인정 기준일 설정 가능

2. 공인외국어시험
특정 날짜 이후 취득 점수만 인정
YBMNET에서 주관하는 시험의 경우 2년 이내의 시험만 등록 가능하며 실제 시험 결과가 등록됩니다.

3. 경력 기간
인정할 고용 형태를 지정하여 경력 기간을 자동 산정 (정규직/계약직 등)
직장경력 : 항목 지정 시 경력 기간 산정을 위해 인정하고자 하는 고용 형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해당 설정을 기준으로 지원자의 총 경력이 산정되며, 서류자동심사 기능에 적용됩니다.

예시) 직장경력 - 정규직만 선택한 경우
- 지원자 : 정규직(1년 9개월) + 계약직(11개월)의 경력을 보유하여도 실질적으로 시스템 상 인정되는 기간은 1년 9개월의 정규직 근무 기간입니다.

⚠️ 채용공고 진행 중 설정을 변경할 경우, 제출된 지원서의 총 경력 재계산으로 인해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습니다.
⚠️ 경력 산정은 ISO 8601 방식으로 진행하며 종료일을 포함하여 계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