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 전형] 평가 척도 설정
본 가이드는 전형 진행 간 필요한 평가 척도를 설정하는 가이드입니다.
1. 평가 척도 설정
평가 척도는 평가자가 지원자를 평가하는 기준을 의미하며,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 일반 평가 척도 :평가 역량과 종합 점수의 평가를 위한 점수 또는 등급을 등록하여 사용하는 척도
- 최종 평가 척도 :전형의 당락을 결정하는 합/불에 사용되는 척도
일반 평가 척도
일반 평가 척도 설정은 사용 중 평가 척도 탭과 사용 중지 평가 척도 탭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목록을 통해서 각 평가 척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 여부를 OFF 처리하는 경우 사용 중지 평가 척도로 이동하게 됩니다.
일반 평가 척도 설정
평가 척도의 사용 상태는 하기로 구분되며 상태별 활성화되는 버튼이 상이합니다. 미사용과 사용중 상태의 경우 관리를 통해 척도를 수정할 수 있지만, 사용중 상태의 평가 척도는 기존 전형에서 사용되지 않은 세부 항목만 수정 가능합니다. 척도의 삭제는 두 상태 모두 자유롭게 가능합니다. 평가 진행 중의 경우 특정 전형에 배정되어 평가자가 사용 중이기 때문에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하며 보기를 통해 확인만 가능합니다.
- 미사용 :평가 척도를 생성하였지만 배정된 전형이 없는 경우
- 사용중 :평가 척도가 전형에 배정되었고 평가에 사용되기 전이거나, 평가에 사용되었지만 전형이 완료된 경우
- 평가 진행중 :평가 척도가 현재 전형에 사용되고 있는 경우
평가 척도 사용 상태
평가 척도 등록
평가 척도 각 명칭의 정렬 순번은 배점을 기준으로 자동 정렬되며, 설정 완료 후 저장을 하게 되면 목록 가장 하단에 설정한 새로운 평가 척도가 등록됩니다.
평가 척도 등록
최종 평가 척도
최종 평가 척도 설정은 사용 중 최종 평가 척도 탭과 사용 중지 최종 평가 척도 탭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목록을 통해서 각 최종 평가 척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 여부를 OFF 처리하는 경우 사용 중지 최종 평가 척도로 이동하게 됩니다.
최종 평가 척도 설정
최종 평가 척도의 사용 상태는 하기로 구분되며 상태별 활성화되는 버튼이 상이합니다. 미사용 상태의 경우 관리를 통해 척도를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으며 척도의 삭제도 가능합니다. 사용중 상태의 경우 관리 및 삭제가 비활성화 되며 미리보기를 통해 확인만 가능합니다.
- 미사용 :최종 평가 척도를 생성하였지만 배정된 전형이 없는 경우
- 사용중 :최종 평가 척도가 전형에 배정되거나 사용 중인 경우
⚠️ 전형에 설정된 최종 평가 척도의 경우 사용 여부를 OFF처리할 수 없습니다.
최종 평가 척도 설정
최종 평가 척도는 기본 설정 값이 있으며 대체명으로 변경하고자 하시는 경우 수정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설정 값의 갯수는 4 가지로 고정됩니다.
- 기본 설정 값 :미평가 / 합격 / 예비합격 / 불합격
ℹ️ 합격 및 불합격과 다른 의미의 단어를 사용할 경우 평가 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최종 평가 척도는 전형에 적용되면 평가자 사이트 전형 평가의 최종 평가와 관리자 사이트의 평가 결과의 전형 결과에 적용됩니다.
예시 - 평가자 사이트 최종 평가 & 관리자 사이트 전형 결과
역량별 평가 척도 가이드
평가 척도는 기업의 필요에 따라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대표적으로 활용하는 역량별 평가 척도를 안내 드리겠습니다.
1. 숫자 척도
숫자 척도는 평가자가 가장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척도입니다. 만점에 해당하는 점수를 정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평가 배점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평가 척도 기준 설명은 필수가 아닌 선택 입력 사항입니다.
예시 - 숫자 척도
2. 알파벳 척도
흔히 사용되는 S-A-B-C-D 또는 A-B-C-D-F와 같은 알파벳을 활용하여 점수를 설정하는 척도입니다. 평가 척도를 더 세분하고자 하는 경우 각 알파벳에 +/-를 사용하시어 세분화된 척도를 구축하실 수 있습니다.
예시 - 알파벳 척도
3. Pass / Fail (P/F) 척도
결격 사유를 변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척도 입니다.
예시 - P/F 척도
역량종합평가 / 종합평가 가이드
역량종합평가과 종합평가는 역량별 평가 척도(최소 하나 이상의 역량 척도)의 합산 결과를 나타내는 점수이며, 각 척도에 배정한 배점과 평가에서 부여한 결과의 가중치로 계산됩니다. 두 평가 결과는 1차적으로 동일하게 계산되지만 종합평가는 평가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으로 계산된 두 결과를 그대로 사용하지만 특정 경우 종합평가를 변경하기도 합니다.
예시 - 서류전형 종합평가 / 역량종합평가
예시 - 면접전형 종합평가 / 역량종합평가 위치 (구 지원서)
예시 - 면접전형 종합평가 / 역량종합평가 위치 (신규 지원서)
1. 숫자 합산형
역량별 평가 척도를 숫자로 표기한 경우, 전체 합산으로 종합점수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역량별 만점 기준과 평가 역량 개수에 따라 응용해서 구성하시면 됩니다.
예시 - 숫자 합산형
2. 역량별 평가 척도와 동일한 척도 설정
역량별 평가척도를 알파벳 척도로 설정했다면 종합평가척도 역시 동일하게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종합평가 점수는 각 평가항목 사이에 두고 반올림해서 반영됩니다.
예를 들어 A+(4.5) 1개와 A(4.0) 1개 합산된 종합결과는 각 평점의 중간 값인 4.25인데, 반올림을 했기 때문에 A+(4.5)로 반영됩니다.
예시 - 중간 값이 되는 경우
3. 공공기관용 척도
많은 공공기관이 역량별 평가방식은 숫자로 5점 만점, 10점 만점을 사용하는데 종합 결과를 합격/예비합격/불합격 척도를 활용하거나, 적격/보류/부적격 등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공공기관 특성상 종합평가결과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을 지양하기 때문에, 평가 항목별로 일정 비율을 맞춰서 종합점수 척도 세트를 설정해야 합니다. 자동 입력되는 종합점수가 각 평가항모의 중간 값의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예시 - 공공기관 척도 설정
⚠️ 평가 척도 설정 시 규칙적으로 중간 값을 모두 입력하시어야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값들이 불규칙적으로 설정될 경우 합산 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시)
1,3,5,6,8, ~
1,2,3,4,5 ~
⚠️ 평가항목 설정 시 배점에는 소수점이 입력될 수 없습니다.
예시)
배점에 2.5 입력 시 배점은 2점으로만 인식